• 홈
  • 로그인
  • 회원가입
성명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강원소재 한 경찰서에서 2019년부터 2년 간 다수 경찰이 연관된 성희롱 사건이 발생했다. 경찰청의 조사를 통해 성희롱 피해 사실이 확인되었고 총 12명의 경찰이 징계처분을 받고 일부는 형사처벌까지 받았다. 피해자는 성희롱 피해에 더해 이후 지속되는 조직 내 2차 가해에도 불구하고 경찰로서 주어진 업무를 충실히 수행해 나갔다.

 

그런데 황당하게도 해당 경찰서는 경찰청이 집단 성희롱 사실을 조사하고 있던 무렵, 피해자가 업무 중 부주의하게 실수한 사실들을 파헤쳐 피해자를 고소하였다. 수사기관에서 수사가 이루어진지 10개월 만에 피해자는 무혐의 처분을 받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경찰서는 이와 별개로 내부 감찰을 통해 최근 피해자에게 감봉처분 하였다.

 

해당 경찰서의 금번 감봉처분은 피해자의 업무상 실수 내용에 비하여 지나지게 과도한 처분으로 보이며 성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8조 2호, 7호, 8호에서 금지하는 사용자의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징계, 정직, 감봉, 강등, 승진제한, 그밖의 부당한 인사조치, 직무에 대한 부당한 감사 또는 조사나 그 결과의 공개, 그 밖에 본인의 의사에 반하는 불이익조치가 아닌지 의심된다.

 

이는 성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등에 관한 법률 등에서 규율하는 피해자보호조치에 정면으로 반하며 성희롱 피해를 호소한 피해자에 대한 전형적인 2차 가해행위이다. 이로 인해 향후 성폭력 피해자들이 조직으로부터 보복성 조치를 당하게 될 것을 염려하여 피해 사실을 알릴 엄두 조차 내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까 우려된다.

 

해당 경찰서는 성폭력 피해자에 대하여 사용자의 불이익조치를 금지토록 한 법률 규정의 입법취지를 몰각시키는 피해자에 대한 조직적 보복행위를 멈추길 바란다. 국가기관인 경찰에서 먼저 피해자에 대한 보호조치를 제대로 이행하기를 촉구하며 향후 피해자 보호 강화를 위한 추가적인 제도 마련이 논의되어야 한다.

 

 

2022. 9. 7.

 

(사)한국여성변호사회

회  장   김 학 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9 [2022. 9. 16.]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법적 쟁점과 약자의 권리보호를 위한 신속한 분쟁해결절차 마련을 위한 세미나 개최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2.09.16 269
108 [2023. 4. 27.] 한국여성변호사회, 범죄피해자의 일상회복을 위한 공동세미나 개최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3.04.27 270
107 [2022. 12. 1.] 아동학대 범죄자에 대한 공무원임용금지 법령에 대한 위헌판결에 유감을 표명하며 아동보호에 입각한 입법이 이루어지길 촉구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2.12.01 271
106 [2023. 6. 28.] 한국여변, 『교제 폭력 피해자 보호의 강화 방안을 위한 간담회』 개최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3.06.28 275
105 [2023. 2. 23.] 성폭력범죄 피해자의 주거 안전과 평온을 두텁게 보장할 수 있는 입법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길 강력하게 촉구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3.02.24 277
104 [2023. 5. 30.]반복적인 ‘부재중전화’에 대해 스토킹범죄로 판단한 대법원의 판결을 환영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3.05.30 277
103 [2023. 4. 24.] 여성·아동·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여성대법관이 지명되길 기대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3.04.24 282
102 [2023. 5. 10.]"5. 15 세계 가정의 날 기념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정책 간담회" 개최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3.05.10 283
101 [2022. 11. 25.] 현행 가정 내 육아지원체계에 대한 실태와 개선방향 토론회 개최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2.11.25 286
100 [2023. 3. 28.]“특유재산분할의 판례 동향과 법적쟁점 대토론회” 개최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3.03.28 288
99 [2022. 8. 29.]한국여성변호사회,「아동‧청소년 개인정보 보호 정책」 토론회 공동주최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2.08.29 292
98 [2023. 2. 10.] 한국여성변호사회, 대한여한의사회와 MOU 체결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3.02.10 298
97 [2022. 8. 4.] “기업 이사회 구성함에 있어 성별 다양성을 의무화한 자본시장법 준수를 촉구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2.08.08 302
» [2022. 9. 7.] 성희롱피해자 두 번 울리는 징계처분은 마땅히 취소되어야 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2.09.07 307
95 [2023. 1. 11.] 여성변호사의 권익 향상을 위한 제도 개선 관련 제52대 대한변호사협회 협회장 후보자들의 정책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3.01.11 31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