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
  • 로그인
  • 회원가입
성명서

최근 일부 대선주자들이 여성가족부 폐지를 공약으로 내걸며, 여성가족부가 부처로서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고 있고, 존재할 이유가 없다며 여성가족부 폐지의 당위성을 주장하였다.

 

여성가족부 폐지를 주장하는 정치인들에게 묻고자 한다. 여성가족부 폐지를 공약으로 내세울 때 여성가족부의 기능과 역할에 대하여 충분히 숙고는 하였는가. 설사 여성가족부가 부족하였다고 하여도 부처 자체를 없애겠다는 것이 편의적 발상은 아닌가. 여성가족부의 개선방향에 대한 최소한의 고민은 하고서 폐지를 주장하는 것인가. 이러한 질문에 대해서 폐지론자들은 책임 있는 답변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젠더갈등을 해결하여야 할 정치권이 오히려 젠더갈등에 편승하여 정치적 반사이익을 얻고자 꼼수를 부린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이다.

 

정치권이 여성가족부가 남녀갈등을 조장하는 부처라는 일부의 견해에 동조하여 부처 자체를 없애겠다고 나선 것은 여성가족부에 대한 몰이해에 근거한다. 여성가족부는 여성만을 위한 부처가 아니다. 여성가족부가 담당하는 저출산 문제, 다문화가족 문제, 성폭력·가정폭력 피해자 지원 문제는 남녀의 문제이지 여성만의 문제가 아니며, 우리 사회 구성원 전부가 풀어야할 숙제이다.

 

여성가족부는 양성평등실현을 기치로 출범해 그동안 성폭력 피해자 지원, 디지털 성착취물 삭제 서비스 제공 등 각종 범죄 피해자 지원 정책을 펴왔고, 특히 디지털성범죄자 지원 업무와 관련해서는 국제인권단체로부터 “타국가에 모범이 될 정도”라고 그 성과를 평가받기도 하였다. 그밖에 양육비 이행법 추진, 여성의 일·가정 양립 추진 등은 여성가족부가 아닌 다른 부처가 수행하는 것을 기대하기가 어렵다. 또한 고위직 여성임용비율 증가의 필요성, 성별영향분석평가제의 안착, 각종 예산을 양성평등정책에 친화적으로 편성하여야 하는 문제, 지역구 국회의원 30% 여성 공천 등 정치, 경제, 사회 여러 영역에서 여성의 지위향상이 아직 필요하다. 세계경제포럼(WEF)가 발표한 ‘2020 세계 성격차 보고서’를 보면 한국의 성 격차 지수는 153개국 중 108위로 최하위권이다. 아직 양성평등을 위해 걸어갈 길은 요원하다.

 

물론 현재 여성가족부의 역할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있는 것은 사실이나 이는 여성가족부의 폐지로 해결될 사안이라기보다 여성가족부 역할 개선 등으로 풀어야할 문제이다. 한국여성변호사회(회장 윤석희)는 여성가족부 폐지에 반대하며, 여성가족부가 남녀 양성 모두를 위한 부처로 거듭나고, 아동과 여성, 가족에 관한 정책을 확대해 나가는데 있어 어떠한 지원도 아끼지 않을 것이다.

 

 

 

2021. 7. 8.

 

(사)한국여성변호사회

회  장   윤 석 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4 [2021. 7. 9.] 그루밍성폭력에 대한 단죄 판결을 환영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1.07.09 490
» [2021. 7. 8.] 정치권의 여가부 폐지논쟁에 유감을 표하며, 아동과 여성, 가족을 위한 정책 확대와 추진을 촉구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1.07.08 534
62 [2021. 5. 28.] 여성변호사에 대한 피해구제를 철저히 할 것과 법조계 내 성폭력 예방을 위한 제도개선을 강력히 촉구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1.05.28 626
61 [2021. 5. 24.]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의 적극적 실천을 기대하며-건강가정기본법 개정이 필요하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1.05.26 720
60 [2021. 2. 19.] 용화여고 스쿨미투 사건에 대한 법원 판결을 환영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1.02.19 757
59 [2021. 1. 12.] 한국여성변호사회는 제51대 대한변호사협회 협회장 선거에서 기호 2번 조현욱 후보자를 공개 지지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1.01.12 818
58 [2021. 1. 4.] "정인이"학대사망 사건에서 가해부모에 대하여 살인죄로 의율함과 더불어 아동학대사건에서의 초동조사의 실효성을 확보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1.01.04 1137
57 [2020. 12. 15.] 현직 판사가 법률신문에 게재한 '페티쉬'라는 제목의 칼럼에 유감을 표명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0.12.15 1092
56 [2020. 12. 14.] 양육비 이행의 실효적인 수단을 마련한 '양육비 이행확보 및 지원에 관한 법률개정안'의 국회 본회의 통과를 환영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0.12.14 675
55 [2020. 7. 19.] 고 박원순 시장 성추행 사건에 대한 강제수사 즉시 착수를 촉구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0.07.20 986
54 [2020. 7. 8.] 美 송환불허, 손정우에게 사실상 면죄부 준 결정으로 향후 디지털성범죄에 대한 엄중한 처벌과 판단을 촉구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0.07.08 858
53 [2020. 6. 11.] 아동학대사건 재발방지를 위한 민법상 징계권 삭제 및 자녀체벌금지의 법제화에 적극 찬성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0.06.11 970
52 [2020. 6. 10.] 아동학대사망사건 더 이상 재발하지 않도록 실효적 대책을 촉구한다- 「포용국가 아동정책」 적극 이행하라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0.06.10 901
51 [2020. 6. 2.] "직장내 성추행범죄행위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환영하며 엄중한 판단을 촉구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0.06.02 741
50 [2020. 5. 22.] 다행히도 이번 20대 마지막 본회의에서 n번방 재발방지법과 양육비이행제재 법안이 통과된 것을 환영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0.05.22 71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