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
  • 로그인
  • 회원가입
성명서

2020. 5. 20. 20대 국회에서 “n번방 방지법”과 “양육비이행제재법안”이 통과되었다. 만시지탄이라 아쉬움이 없는 것은 아니나 지금이라도 다행이라 아니할 수 없다.

 

이른바 “n번방 방지법”은 인터넷 사업자에게 디지털 성범죄물을 삭제할 의무를 지우는 등 불법 디지털 성범죄물에 대한 유통방지 조치나 기술적, 관리적 조치를 할 의무를 부과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불법 성착취물이 인터넷상에서 유통되면서 더 큰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양육비이행확보및지원에관한법률’ 개정안은 정당한 이유 없이 양육비를 지급하지 않으면 운전면허가 정지될 수 있고, 정부가 한시적으로 양육비를 긴급지원한 경우 양육비 채무자의 동의 없이도 신용정보 및 보험 정보를 관계기관에 요청할 수 있도록 했으며, 양육비 채무자가 긴급지원액을 납부하지 않으면 국세체납처분의 예에 따라 징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양육비이행관리원에 따르면 2015년 출범 이후 지난해 말까지 접수된 2만여 건의 이행 지원 신청 가운데 법원에서 이행 의무를 확정받은 건 1만6073건이며 실제 양육비가 지급된 건 5715건(35.6%)에 그친다고 하는바, 양육비 채무자에 대한 제재를 강화한 개정안이 시행될 경우 실질적인 양육비 이행 비율이 올라갈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법안 통과에 만족해서는 안 될 것이며, n번방 방지법과 관련하여 향후 입법을 감안하여 비록 양형기준이 마련되지는 않았다고 하더라도 디지털 성범죄 양형에 반영되기를, 양육비 미이행에 대한 구상방안을 마련하여 아동의 생존권에 대한 실질적인 보호책이 수립되기를 희망한다.

 

한국여성변호사회는 줄곧 위 법들에 대하여 주창하여 왔는바, 더 이상 여성과 아동들이 고통받지 않는 세상을 만들기 위하여 위 법안들이 제대로 시행되고 정착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모든 노력을 다 할 것이다.

 

 

2020. 5. 22.

 

(사)한국여성변호사회

회  장   윤 석 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9 [2022. 9. 16.]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법적 쟁점과 약자의 권리보호를 위한 신속한 분쟁해결절차 마련을 위한 세미나 개최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2.09.16 268
108 [2023. 4. 27.] 한국여성변호사회, 범죄피해자의 일상회복을 위한 공동세미나 개최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3.04.27 270
107 [2022. 12. 1.] 아동학대 범죄자에 대한 공무원임용금지 법령에 대한 위헌판결에 유감을 표명하며 아동보호에 입각한 입법이 이루어지길 촉구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2.12.01 271
106 [2023. 6. 28.] 한국여변, 『교제 폭력 피해자 보호의 강화 방안을 위한 간담회』 개최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3.06.28 273
105 [2023. 2. 23.] 성폭력범죄 피해자의 주거 안전과 평온을 두텁게 보장할 수 있는 입법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길 강력하게 촉구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3.02.24 277
104 [2023. 5. 30.]반복적인 ‘부재중전화’에 대해 스토킹범죄로 판단한 대법원의 판결을 환영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3.05.30 277
103 [2023. 4. 24.] 여성·아동·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여성대법관이 지명되길 기대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3.04.24 282
102 [2023. 5. 10.]"5. 15 세계 가정의 날 기념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정책 간담회" 개최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3.05.10 282
101 [2022. 11. 25.] 현행 가정 내 육아지원체계에 대한 실태와 개선방향 토론회 개최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2.11.25 286
100 [2023. 3. 28.]“특유재산분할의 판례 동향과 법적쟁점 대토론회” 개최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3.03.28 288
99 [2022. 8. 29.]한국여성변호사회,「아동‧청소년 개인정보 보호 정책」 토론회 공동주최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2.08.29 292
98 [2023. 2. 10.] 한국여성변호사회, 대한여한의사회와 MOU 체결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3.02.10 298
97 [2022. 8. 4.] “기업 이사회 구성함에 있어 성별 다양성을 의무화한 자본시장법 준수를 촉구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2.08.08 299
96 [2022. 9. 7.] 성희롱피해자 두 번 울리는 징계처분은 마땅히 취소되어야 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2.09.07 307
95 [2023. 1. 11.] 여성변호사의 권익 향상을 위한 제도 개선 관련 제52대 대한변호사협회 협회장 후보자들의 정책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3.01.11 31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